[고객 인터뷰] Part 1. 데이터 분석, 왜 뷰저블을 사용해야 하나?

안녕하세요! 뷰저블입니다.

얼마전 뷰저블은, 서비스를 꾸준히 사용하며 애정을 가지고 피드백을 주신 고객분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에 진행한 인터뷰에서는 뷰저블 대표 고객 두분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는데요,
뷰저블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쓰이고 어떤 가치를 만들어내는지를 알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어요. 

두분이 들려주신 현장의 실제 활용 성과를 통해, 여러분들도 숫자 이상의 설득력을 가지는 뷰저블을 간접체험해보세요!

Part 1.
01.  인터뷰이 소개
02. 왜 뷰저블을 선택하셨어요?
03. 어떻게 활용하고 계세요? – 업무 & 교육 현장
뷰저블이 더 궁금하세요? 
본격 글에 들어가기 앞서, 뷰저블 서비스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 UX Heatmap :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811 
► Journeyman : https://forum.beusable.net/ko/solomon/post/812 

01. 인터뷰이 소개

뷰저블을 실무와 교육 두 현장에서 오랜 시간, 깊이 활용하며 뷰저블의 첫번째 앰버서더로 활동하게 되신 
“그로스쿨”의 두 분을 모셨습니다.

최기영님(좌) / 김민태님(우)
  • 최기영님
    그로스쿨 대표이자 풀스택 기획자로, 마케팅 데이터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도구와 사례를 커리큘럼에 접목해 수강생들에게 실무 친화적인 데이터 경험을 제공하고 계십니다.

  • 김민태님
    그로스쿨 COO로, 예비 마케터 및 데이터 취업 준비생들에게 멘토이자 강사로 활동하시며 
    블로그와 강연을 통해 데이터 분석이 어떻게 현장에서 가치를 만드는지 전하고 계습니다.

두분은 뷰저블을 아주 오랜 기간 꾸준히 사용해 주신 헤비유저시랍니다.

02. 왜 뷰저블을 선택하셨어요? 🎙️

“다른 툴로는 부족했던 디테일을, 
뷰저블의 직관적 시각화가 채워주었어요.”

Q. 뷰저블을 처음 어떻게 접하게 되셨나요?

  • “처음에는 Hotjar 같은 해외 툴을 사용했어요. 그런데 서버 안정성 문제도 있었고, 가격도 만만치 않았죠.
    그러다 보니 대체제를 찾게 됐고, 한국 환경에 맞고 직관적인 시각화 기능을 가진 뷰저블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저렴하면서도 실제로 써보니 업무 효율이 크게 달라졌어요.” (김민태님)

두 분 모두 공통적으로 “GA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을 뷰저블이 채워준다”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 “GA는 수치만 던져주니까 그걸 해석해서 설득하기가 쉽지 않아요. 
    뷰저블은 직관적으로 보여주니까 내부에서 바로 공감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김민태님)

  • 수강생 입장에서는 GA나 다른 툴은 숫자로만 보여주니 이해가 어렵습니다.
    뷰저블은 시각적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어서 학습효과가 훨씬 커요.” (최기영님)
인터뷰에 열심히 응해주고 계신 김민태님

03. 어떻게 활용하고 계세요? – 업무 & 교육 현장 📑📚

“히트맵으로 전환 이탈을 잡고, 
교육 현장에서의 데이터 이해도를 높였어요.”

Q. 뷰저블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계신가요?

[업무 현장] 📑
히트맵 데이터를 활용해, 개선 필요 사항을 판단/선정 → 전환율 개선

  • “주로 히트맵(클릭, 스크롤, 무브, 줌 등)을 씁니다. 상세페이지에서 사람들이 어느 구간에서 이탈하는지, CTA 버튼은 어디서 얼마나 클릭되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상품 상세페이지에서 스크롤을 잘 내려가다가 특정 높이에 도달한 고객이 확 갑자기 줄어드는 순간이 있으면 바로 확실한 개선 포인트로 삼습니다.” (김민태님)

► 뷰저블 UX Heatmap 데이터를 활용해 페이지를 개선한 사례가 궁금하세요? https://forum.beusable.net/ko/post/2282
*예시 이미지: 뷰저블 컨설팅 리포트 발췌 – 이커머스 사이트
*본 예시 이미지는 이해를 돕기 위해 뷰저블 측이 준비한 예시로, 인터뷰이의 실제 분석 경험과 무관합니다.
[스크롤 히트맵] 
본격적인 콘텐츠가 시작되는 카테고리 버튼 하단부터 
도달률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점을 확인하여 개선 포인트로 선정
[클릭 히트맵] 
CTA 버튼 클릭률을 통해 활용도 확인

[교육 현장] 📚

일자별 도달률과 구매 전환율, 콘텐츠를 비교 분석해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

  • “강의에서 뷰저블을 활용해 수강생들에게 데이터와 전환의 상관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숫자로 설명하면 와닿지 않지만, 히트맵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면 금방 이해해요.
    스크롤 히트맵에서 일자별 도달률을 확인하고, 해당 일자의 구매 전환 데이터를 같이 대조해서 보여주면
    학생들이 ‘아, 스크롤을 어디까지 내렸는지와 전환율이 관계가 있구나,
    콘텐츠를 어디까지 읽었는지가 이래서 중요한 거구나’ 하고 바로 체감하더라고요.” (최기영님)

►매일 달라지는 스크롤 범위를 확인할 수 있는 Filmstrip이 궁금하세요? https://forum.beusable.net/ko/post/2170
[스크롤 히트맵] Filmstrip 기능을 통해 일자별 도달률 확인 
→ 콘텐츠를 더 많이 탐독한 고객의 구매 전환율이 더 높다는 점을 눈으로 확인

이번에는 두분께서 뷰저블 어떤 점이 좋아서 선택했고,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솔직한 내용을 들어보았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그래서, 뷰저블을 활용해서 무엇을 얻을 수 있었나!”,
뷰저블을 통해 얻은 가치에 대해 말씀주셨는데요, 
Part 2로 이어서 자세히 전달드릴게요. 기대해주세요!

여러분의 데이터 분석이 쉬워질 때까지 뷰저블은 앞으로도 달리겠습니다!
숫자 이상의 설득력을 가지는 뷰저블! 여러분도 체험해보세요!

Print Friendly, PDF & Email

Share This Post

Share on facebook
Share on linkedin
Share on twitter
Share on email

Related